1. 왜? 읽었나
홍성국
이름 세글자를 신과함께에서 처음 접했다.
신선했다. 코멘트 하나하나가...
그럼에도 불구하고 꼰대라고 불리수 있는 연세 였다.
홍성국이란 사람의 생각의 깊이가 궁금해서 서둘러 샀다.
그러나 늦게 읽었다. 바빠서...
2. 평점:6/10
3. 한 줄 평
수축사회 알겠는데 어떻게 대비해야 되는지도 잘모르겠어요... 원론적이라서...
4. MIS(My Important Spot)
- 구글 비밀연구조직 구글 X의 초대 소장 세바스찬 11년 무료 AI 강좌를 열었다
- 메가스터디 이후 대부분은 교육은 온라인으로 진행 중 이를 통한 다면 4차산업은 서비스
산업까지 침투 완료
- 독재시스템이 유지되는 조건 중 하나가 정권이 영구적일 것이라 판단하여 엘리트 계층이
상대적으로 근면해짐
- 중국 공산당의 엄청한 학습량에 비했을 때 대한민국은 그러한가?
- 디자인의 우월성, 애플 내에서 평균 연봉이 가장 높은 분야는 디자인, 4차 산업으로 인해
모방의 시간은 1~2년이면 충분함 하지만 브랜드와 디자인은 모방이 안되기 때문에 이것이
본질이 될 것임
- 수축사회에서는 선택과 집중을 강조(그러나 이는 뒤에 나오는 한 현상에 대해 통섭적으로 사고
하라는 내용과 상충됨)
- 리더는 패러다임을 팽창사회에서 수축사회로 전환하여 폭넓은 이해가 선행되어야 함
- 사회적자본(본서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단어임) 민주주의 기반으로 법치, 계약, 상호부조, 다양성
등이 상식으로 유지될 때 축척된다.
- 경제를 바라볼 때 생태계 관점(한국의 경제생태계, NEAR재단, 김정관)의 관점으로 상호 연결성을
가지고 감안하여야 한다고 함... 이것도 선택과 집중과 상충
- 4가지 정책(소득주도 성장, 주52시간근무, 김영란법, 미투운동)10년 정도의 계획을 두고 정착해야
한다.
- 대한민국 실제 국민소득은 2만달러 왜? 신선 식품의 높은 물가, 주택, 사교육 등 때움임
5. 총평
- 시작은 파격적이고 혁명적이였으나, 대책은 찻잔의 태풍
- 홍성국 저자도 자신도 경험해 보지 못한 것이라 수축사회에 대한 대책은 잘 모른다는 것을
여기 저기에 서술함
- 그러나 후반부의 어쩔 수 없이 대책을 넣었는 듯 너무 원론적이 거대 담론의 이야기가 많았음
- Bottop -up 방식으로 지금 독자가 당장 해야 될 일부터 제시하였다면 더 좋았을 것 같다는
생각이 듦
- 세계가 일본된다. 인재vs인재 이거 읽어야 해 말아야 해? ㅎㅎ